Maven 을 이용한 프로젝트 생성 및 활용

FRAMEWORK 2015. 6. 5. 15:40

Maven 소개



메이븐은 프로젝트 구조와 내용을 기술하는 선언적 접근방식의 오픈소스 빌드 툴 입니다. 
컴파일과 동시에 빌드를 수행할 수 있으며 테스트를 병행하거나 서버측 디플로이 자원을 관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아무래도 개발자들에게 가장 큰 장점은 프로젝트의 종속 라이브러리들과 그 라이브러리에 영향을 미치는 Dependency 자원까지 관리 할 수 있다는 점일 것 입니다. 

즉, jar 파일을 다운받아 프로젝트에 추가할 경우 그것과 연관된 다른 종속 라이브러리 또한 다 찾아야 하는 불편함을 Maven을 통해서 일관성 있는 라이브러리간의 의존관계 (의존성) 관리를 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는 단순히 라이브러리 뿐 아니라 프로젝트별 모듈의 의존성 또한 관리가 된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메이븐은 프로젝트 전반의 리소스 관리와 Configuration 파일, Doc 생성 및 이와 관련한 표준 디렉터리 구조를 처음부터 일관된 형태로 구성하여 진행하기 때문에 프로젝트 관리 및 배포 역할을 하는 다른 툴 들과의 연계에서도 뛰어난 유연성을 보여줍니다. 

단점은, 버전별로 이클립스에서 구동되는 방식이 약간 호환성이 떨어진다는 점인데, 사용된 플러그인의 문제인지 메이븐 자체의 하위 호환성 문제인지는 모르겠습니다. 가끔 저장소 접근에 관한 문제도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메이븐을 학습하기 위해서는 메이븐을 설치하고 POM (Project Object Model) 을 작성한 후 각종 빌드 스크립트 혹은 명령어를 통해 배워나가야 하지만 여기서는 기본적인 사용법과 더불어 STS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작성 한 후 어떻게 이클립스상에서 메이븐을 활용하는지에 초점을 맞춰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Maven의 기본적인 사용법



Maven 프로젝트의 기본 디렉토리 정책







메이븐의 프로젝트 관리 디렉토리는 최상위에 프로젝트를 기준으로 pom.xml 이라는 메이븐 프로젝트 설정 파일이 존재하며 그것을 바탕으로 프로젝트와 관련된 정보를(라이브러리 및 빌드 정보등) 기술하게 되어 있습니다. 

src 밑으로는 main 과 test 라는 디렉토리가 존재하며 각 하위에 java 와 resources 가 위치하게 됩니다. 

기본적인 메이븐의 주요 디렉토리는 아래와 같습니다. 

  • src/main/java : 자바 소스 파일 위치 시킵니다. 이 하위에 org.gliderwiki ... 와 같은 패키지를 배치합니다.
  • src/main/resources : 프로퍼티나 XML 등 리소스 파일이 위치합니다.
  • src/main/webapp : Web Project 일 경우 WEB-INF등 웹 어플리케이션 리소스를 위치시킵니다.
  • src/test/java : JUnit등의 테스트 파일이 위치하게 됩니다.
  • src/test/resources : 테스트시에 필요한 resource 파일이 위치하게 됩니다.

src 위치 하위에 main 부분과 test 부분을 경로가 나뉘는 이유는 개발과 동시에 테스트 코드를 작성 하기 위함일 것입니다. 
XP 프로그래밍과 같이 로직의 개발과 테스트가 동일한 시점에 가능하다면 class package 정책에 맞춰 test 단계의 코드들 또한 같이 개발할 수 있게 하기 위함입니다. 


POM 파일의 기본 구성



STS 상에서 Maven 프로젝트를 생성하거나 Spring Template 로 프로젝트를 생성하게 되면 루트애 pom.xml 파일이 위치하게 됩니다. 

pom 파일에는 프로젝트 정보가 표시되며, 이름, url, 이슈트래킹 시스템에 대한 명시, CI 서버 정도등 프로젝트에 필요한 시스템에 대한 명세가 가능합니다. 

아래는 STS 에서 Maven Project를 생성했을시에 나오는 pom 파일의 내용입니다. (프로젝트 생성 부분은 추후에 설명합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modelVersion>4.0.0</modelVersion>
 
  <groupId>org.gliderwiki</groupId>
  <artifactId>SampleApp</artifactId>
  <version>0.0.1-SNAPSHOT</version>
  <packaging>jar</packaging>
 
  <name>SampleApp</name>
  <url>http://maven.apache.org</url>
 
  <properties>
    <project.build.sourceEncoding>UTF-8</project.build.sourceEncoding>
  </properties>
 
  <dependencies>
    <dependency>
      <groupId>junit</groupId>
      <artifactId>junit</artifactId>
      <version>3.8.1</version>
      <scope>test</scope>
    </dependency>
  </dependencies>
</project>



여기서 핵심은 dependencies 항목입니다. dependencies 항목은 어플리케이션을 컴파일 하고, 테스트하고, 실행하는데 필요한 라이브러리 목록을 기술합니다. 

기본으로 생성된 메이븐 프로젝트에는 Junit 라이브러리가 test scope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바로 이처럼 dependency 설정을 통해 의존관계에 있는 라이브러리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여기 예시에는 나와있지 않지만 프로젝트 정보와 별도 항목으로 빌드(build) 설정, plugin 설정, 빌드환경정보, pom의 연관정보 (의존프로젝트, 상위 하위 모듈등), 리포팅(checkStyle 등을 이용) 등의 주요 항목들을 기술하게 되어있습니다. 


각 연관 태그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합니다. 

  • 프로젝트 정보 항목
    • name : 프로젝트의 이름
    • url : 사이트 URL
  • 프로젝트 연관 정보
    • groupId : 프로젝트 그룹 ID, 도메인이나 특정한 정보로 식별.
    • artifactId : 프로젝트 Artifact ID 설정, 프로젝트에 의해 생성되는 Artifact 명 - version . packaging 의 형태로 Artifact 파일이 생성.
    • version : 버전 설정. 여기서는 SampleApp-0.0.1-SNAPSHOT.jar 가 되는데 0.0.1-SNAPSHOT 이 version이 됨.
    • packaging : 패키징 타입 설정. 여기서는 jar 파일로 생성됨을 의미. jar 뿐만 아니라 웹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war나 JEE를 위한 ear 등의 패키징 타입을 지정할 수 있음.
  • dependencies : 이 프로젝트에서 의존하는 다른 프로젝트 정보를 기술.
    • dependency : 의존하는 프로젝트 POM 정보를 기술
      • groupId : 의존하는 프로젝트의 그룹 ID
      • artifactId : 의존하는 프로젝트의 artifact ID
      • version : 의존하는 프로젝트의 버전
      • scope : 의존하는 범위 (compile, runtime, provided, test 로 scope 가 나뉨)


여기에서 중요한것은 dependency인데 Spring 이나 JDBC처럼 의존관계가 추가 되는 라이브러리등은 해당 타겟 라이브러리만 지정해주면 Maven 이 자동으로 타겟이 의존하는 라이브러리를 설정해줍니다.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해당 라이브러리를 다운받을 때 리포지토리에 관련 pom도 같이 다운로드를 받게 됩니다. 그 pom을 통해 명시된 의존 관계의 모듈들도 함께 다운로드가 되게 됩니다. 그리고 그 정보를 클래스 패스에 추가하게 됩니다. 

위에 설명한 구조를 표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의존 범위 (compile, runtime, provided, test)



의존 범위는 쉽게 생각하면 서버측 구동 자원이 로컬에만 필요할 경우 그것을 구분하기 위한 범위 설정이라고 보면 됩니다. 

  • compile : 기본 scope. 컴파일 할 때 필요
  • runtime : 컴파일시에는 필요하지 않지만 런타임에 필요. 배포시 포함.
  • provided : 컴파일 할 때 필요하지만, 컨테이너 등에서 기본으로 제공되는 모듈임을 의미(에를들면 servlet-api.jar 같은...) 배포시에 제외됨.
  • test : 테스트 단계에 필요. 배포시 제외

리파지토리



메이븐은 pom 파일에 지정한 모듈들을 중앙 리파지토리에서 다운받게 됩니다. 또한 로컬 영역에 Nexus등을 이용하여 리파지토리를 구축하기도 합니다. 
로컬 리파지토리는 지정된 위치에 생성되며 일단 원격 리파지토리로부터 파일을 다운로드해서 로컬 리파지토리에 저장하면, 그 뒤로는 로컬 리파지토리를 사용하게 됩니다. 

POM 정보 찾기
http://mvnrepository.com 에서 Maven의 중앙 리파지토리에 등록된 POM 정보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통해 라이브러리의 dependency 설정을 조회하여 적용할 수 있습니다. 







위의 이미지처럼 각 라이브러리를 찾아서 dependency 영역을 pom.xml 에 추가해주면 됩니다. 

아직 설명하지 못한 남은 속성들은 프로젝트 생성 후 의존성 관리 부분과 빌드 영역에 보태어 좀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합니다. 

메이븐의 라이프사이클







메이븐은 미리 정의 하고 있는 빌드 순서를 통해 (라이프사이클) 빌드결과 삭제, 컴파일 및 자원복사, 테스트, 압축(패키지) 배포 등의 단계를 밟게 됩니다. 
Maven에서는 clean, build, site의 세 가지 Lifecycle을 기본적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컴파일(compile), 테스트(test), 패키지(package), 배포(depooy)등의 과정은 빌드 Lifecycle에 속하게 됩니다. 
각 단계에 따른 Goals 이 존재합니다. Maven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Phase를 실행하면 해당 Phase와 연결된 플러그인의 Goal이 실행됩니다. 대표적으로 resources, compile, test, package 등이 존재합니다. 

단계 (Phases)설명
clean빌드된 결과물을 제거함.
compile소스 코드 컴파일
testJunit 이나 TestNG 혹은 정적분석 도구와 함께 단위 테스트를 수행 (테스트 실패시 빌드 실패)
package배포가능한 형태 (Jar, War, Ear등) 로 컴파일 코드를 패키징
integration-test통합테스트를 진행하고, 필요할 시 패키지를 디플로이함
install로컬 머신의 다른 프로젝트에서 종속 라이브러리로 사용될 수 있도록 패키지를 로컬 저장소에 설치함
deploy통합환경 또는 릴리즈 환경에서 다른 개발자들 혹은 프로젝트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최종 패키지를 원격 저장소에 복사

이밖에 더 다양한 단계가 존재하지만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만 정리해보았습니다. 
이 라이프사이클을 통해 프로젝트를 빌드하고 배포하기 위한 가상의 Maven 프로젝트를 생성하여 설명하도록 합니다. 


STS 에서 Maven으로 기본 프로젝트 생성하기.



메이븐을 이용하여 웹 프로젝트를 생성한다면 아래와 같은 디렉토리 구조가 될 것입니다. 

메이븐 웹 프로젝트 구조
SampleWeb 
└─src 
     └─main 
          ├─resources 
          └─webapp 
              └─WEB-INF 



WEB-INF 폴더는 web.xml 이 포함되어 있으며 src/main/webapp 디렉터리는 웹 개발에 필요한 static resources(images, css 등) 나 JSP 등의 파일이 위치 하게 됩니다. 
이때 생성되는 pom.xml 의 packaging 타입은 war 가 됩니다. 

웹 개발이 아닌 모듈 개발일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디렉토리 구조로 프로젝트가 생성됩니다. 






이때 생성되는 pom.xml 의 packaging 타입은 기본적으로 jar 가 됩니다. 
즉, 다른 프로젝트에서 이용할 수 있게 jar 로 target 폴더에 패키징이 됩니다. 

그럼, STS 에서 Maven Project를 생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클립스의 Project Explorer 에서 오른쪽 마우스 클릭 후 new > Project 를 선택합니다. 





select a wizard 에서 Maven > Maven Project 를 선택한 후 Next 를 클릭합니다. 





다음 화면에서 User default Workspace location 을 지정 한 후 Next 를 클릭합니다. 따로 Workspace 를 구성 할 경우 Browse.. 버튼을 통해 경로를 지정해줍니다. 





Group ID는 maven 의 archetypes 이고 Artifact ID는 quickstart 를 선택합니다. 웹 프로젝트일 경우 webapp를 선택하면 됩니다. 
여기서는 웹 개발이 아닌 일반적인 프로젝트를 생성하므로 quickstart 를 선택 한 후 Next 를 클릭합니다. 





Group ID는 org.gliderwiki (패키지 기본 경로) 를 입력 한 후 Artiface ID 는 SampleApp을 입력합니다. 
Artiface ID 는 Project 명칭이 됩니다. 

version는 기본값인 0.0.1-SNAPSHOT 을 선택 한 후 finish 를 클릭합니다. 





최종적으로 생성된 프로젝트의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Maven 을 통한 라이브러리 추가 및 의존성 관리



실제 개발에 앞서 프로젝트 환경설정 점검과 Junit의 버전을 변경한 후 진행하도록 합니다. 





SampleApp 우클릭 후 properties 에서 resource 의 encoding 이 utf-8 인지 확인 합니다. Java build path > libraries 항목에서 Jre 환경을 7 로 맞춘 후 pom.xml 을 다음과 같이 편집합니다. 





기본 junit 을 변경하기 위한 작업입니다. 

이제 소스코드를 통해 junit을 테스트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src/main/java 소스 밑에 있는 org.gliderwiki.SampleApp.App.java 파일을 아래와 같이 수정합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package org.gliderwiki.SampleApp;
 
/**
 * Hello world!
 *
 */
public class App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Hello World!");
    }
     
    public static int sum(int a, int b) {
        return a + b;
    }
}



이제 text 리소스 밑에 있는 AppTest.java 파일을 아래와 같이 수정합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package org.gliderwiki.SampleApp;
 
 
import static org.junit.Assert.*;
 
import org.junit.Test;
 
/**
 * Unit test for simple App.
 */
public class AppTest  {
     
    @Test
    public void sumTest() {
        int a = 1;
        int b = 2;
        int expected = 3;
        int result = App.sum(a, b);
         
        assertEquals(expected , result);
    }
     
}



만약 라이브러리가 제대로 프로젝트에 반영이 되지 않았다면 프로젝트 선택 후 우클릭 > Maven > Update project를 선택하여 새로 수정한 라이브러리가 프로젝트에 반영이 되도록 update 해주어야 합니다. 
제대로 반영 되었다면 Maven Dependencies 가 아래 처럼 변경될 것입니다. 






이제 AppTest 파일을 우클릭한 후 Junit Test를 실행해봅니다. 





정상적으로 JUnit 에 초록막대기가 보이면 테스트는 통과한 것입니다. 

이 간단한 어플리케이션을 빌드 하는 것은 프로젝트 선택 후 우클릭 > Run As > Maven Install 을 통해서 가능 합니다. 





install 을 실행하면 실제 리파지토리를 통해 관련 항목들을 다운받는 것을 console 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BUILD Success 메시지가 콘솔상에 나타나면 빌드에 성공한 것입니다. 

프로젝트의 target 폴더를 확인해보면 해당 하는 jar가 생성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만약 이미 실행한 target 이 있을 경우 clean 후 install 을 아래와 같이 실행할 수 있습니다.







skip tests 부분을 체크하게 되면 junit test 를 실행하지 않습니다. 

Maven 관리와 라이브러리 추가 하기



메이븐에서 라이브러리를 추가하는것은 간단합니다. 
다만 초기 세팅과 관련하여 Global repositories 검색이 잘 되지 않는데 아래 두가지 방법으로 라이브러리 검색 및 추가가 가능합니다. 

Window > Preferences 에서 Maven 을 선택한 후 Update Maven projects on startup 부분을 체크합니다. 





다시 이클립스를 실행하면 우측 하단의 Update Index가 시작되고, index 작업이 끝나면 검색이 가능해집니다. 

또다른 한가지는 Window > Show view > Other.. 선택후 나오는 화면에서 Maven Repositories 를 선택하여 View 를 실행시킵니다. 





나온 View 에서 Global Repositories 를 선택한 후 우클릭 하여 Update Index 를 선택하면 됩니다. (시간이 다소 걸립니다) 






물론 pom.xml 에 특정 repository url 을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repositories>
    <repository>
        <id>maven-repo</id>
        <url>http://repo1.maven.org/maven2/</url>
    </repository>
    <repository> 
            <id>Sonatype repository</id> 
            <name>Sonatype's Maven repository</name> 
            <url>http://oss.sonatype.org/content/groups/public</url> 
        </repository> 
</repositories>




특정 라이브러리를 추가하기 위해서 저장소를 추가하는 것 말고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것들은 update index 를 통해서 충분히 가능 합니다. 

이제 라이브러리를 추가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로젝트 선택 후 우클릭 Maven > Add dependency 를 선택합니다. 





Add Dependency 창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라이브러리를 입력하여 search 합니다. 





여기서는 commons-logging 을 찾았지만 우리가 추가하려고 하는 라이브러리는 ojdbc 와 common-lang 입니다. 




같은 방식으로 commons-logging 를 추가하고 pom.xml 파일을 확인해보도록 합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modelVersion>4.0.0</modelVersion>
 
    <groupId>org.gliderwiki</groupId>
    <artifactId>SampleApp</artifactId>
    <version>0.0.1-SNAPSHOT</version>
    <packaging>jar</packaging>
 
    <name>SampleApp</name>
    <url>http://www.gliderwiki.org</url>
 
    <properties>
        <project.build.sourceEncoding>UTF-8</project.build.sourceEncoding>
    </properties>
 
    <dependencies>
        <dependency>
            <groupId>junit</groupId>
            <artifactId>junit</artifactId>
            <version>4.5</version>
            <scope>test</scope>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commons-lang</groupId>
            <artifactId>commons-lang</artifactId>
            <version>2.4</version>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com.oracle</groupId>
              <artifactId>ojdbc14</artifactId>
              <version>10.2.0.4.0</version>    
        </dependency>
    </dependencies>
     
    <repositories>
        <repository>
            <id>maven-repo</id>
            <url>http://repo1.maven.org/maven2/</url>
        </repository>
        <repository> 
            <id>Sonatype repository</id> 
            <name>Sonatype's Maven repository</name> 
            <url>http://oss.sonatype.org/content/groups/public</url> 
        </repository> 
        <repository>
            <id>mesir-repo</id>
            <url>http://mesir.googlecode.com/svn/trunk/mavenrepo</url>
        </repository>
    </repositories>
     
</project>



오라클 관련된 드라이버의 경우 공식 URL 이 변경된 탓인지 따로 공개 리파지토리를 추가해줬고 실제 우리가 추가한 commons-lang 이 dependency 에 add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을 것 입니다. 

이 방법 이외에도 pom.xml 을 더블클릭하면 STS에서는 UI 형태의 관리툴을 보여주는데, 그곳을 통해서도 관리가 가능합니다. 





하단의 Dependencies 를 선택한 후 추가삭제등의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Add.. 버튼을 클릭하여 라이브러리를 추가해보겠습니다. 




이런 형태로 필요로 하는 라이브러리를 원격 저장소에서 검색하여 추가할 수 있습니다. 
저장소 정보는 정확해야 하며 추가되는 라이브러리와 저장소의 관리가 pom.xml 의 핵심 기능이라는 것을 잊지마시기 바랍니다. 

'FRAME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에 대해  (0) 2016.12.20
Oracle Application Development Framework (ADF)  (0) 2016.12.12
Service Data Objects (SDO)  (0) 2016.12.12
JNDI, TOMCAT  (0) 2013.11.06
IBATIS 처리 후 Return 값  (0) 2013.08.05
: